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는 9월 18일(월) 10시부터 ~ 9월 25일(월) 17시까지 청년 마음 건강 지원사업 참여자를 올해 마지막으로 모집합니다  모집규모는 총 2,500명으로 만 19 ~ 39세 서울거주 청년이면 누구나 청년몽땅청보통에서 신청할수 있습니다

     

    2023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지금바로 신청하러가기

    2023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신청하러가기

     

    2023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지금바로 신청하러가기

     

     

    서울 청년 마음건강 사업 진행

    서울 청년 마음건강사업은 3단계의 정교한 상담 체계로 진행됩니다 

     

    1단계 온라인 자가검진, 이를 바탕으로 한 2단계 상담사와의 자기이해 심화상담(4회)을 거ㅕ 마지막3단계로 분류 유형에 따른 맞춤형 관리를 받게 됩니다 

     

    일반군은 마음건강 앱 이용권 등을 제공해정서적 안정을 도움 받고 임상군은 전문의료기관 등에 연계돼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 도움군에게는 추가 상담을 최대 6회 지원합니다

     

     

    고립 은둔청년 등 우선 연계 민간자원 공동협력 과제 발굴

    최근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고립 은둔 청년 등 취약 청년에게는 사업 참여를 우선 보장하는 형태로 집중관리하고 있습니다

     

    ㅇ 고립.운둔 청년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사업 통합관리 방식을 통해 망므건강상담을 우선 제공하고 초기 진단부터 유형분류, 심화상담, 전문기관 연계 등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9.1일 현재 고립은둔 지원사업 참여자 152명이 청년마음건강 지원을 동시에 받았으며 정기 모집과는 별도로 수시 모집도 진행되었습니다

     

    ㅇ또한 아동권리보장원, 학교밖청소녀지원센터와 MOU등 협력을 통해 자립준비청년, 청년 이행기 청소년등 심리지원이필요한 청년을 발굴하여 우선 지원하도록 하는 등 취약 청년 연계 참여 범위도 넓혀갈 예정입니다

     

    이외 민간기관과 협력하여 청년이 즐길 힐링체험 마음건강회복을 위한 다채롭고 유익한 축제와 프로그램도 연계 확대하고 있습니다

     

    ㅇ 서울청년 마음건강 협약기관인 아모레퍼시픽공감재단에서지난 9월 17일(일) 청년마음축제를 개최하는 과정에서 250여명의 서울 마음건강 사업 참여 청년이 우선 참여기회를 제공받았고 해당 축제서울청년 마음건강 홍보관도 운영해협력시너지를 높였습니다

     

    ㅇ 해당 행사에는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대현 교수, 뇌과학자 장동선 교수와 함께 토크쇼(청년마음톡톡), 생각의 휴식을 찾는 뇌 프로그램(브레인 트레이닝), 내 안의 긍정 에너지를 찾는(비타민 댄스핏)등 많은 야외 프로그램으로 활력 회복을 도왔습니다

     

    ㅇ이외 (주)마인즈에이아이는 PROVE라는 심리검사지를 무산지원하여 마음상태의 입체적 진단과 상태 분석을 돕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19명의 청년이 해당 검사를 활용했습니다

     

     

    과학에 기반한 성과평가 연구결과물, 저작물에 등재되는 쾌거

    서울시 지난 23.1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과학적 성과 측정 기반의 22년도 서울시 청년 마은건강 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진행 결과를 발표한바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보고서가 지난 23.8 월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어문저작물로 등록되어 일반에공개됨에 따라 서울시뿐 아니라 전국의 모든 공공과 민간기관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전파되는 등 그 범용성과 활용 가치가 지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ㅇ 올해 1단계 사전 온라인 자가검진과 함께 2단계 전문 상담사와의 자기이해상담 과정을 추가 설계하며 정밀한 마음상태 측정이 가능하 도록 2단계의 과학적 분류체계를 도입하였고, 이에 기반한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다각화도 이루어졌습니다

     

    ㅇ 이와 함께 만족도 조사 외에 사업효과 측정까지 할 수 있는 정신의 학 기반의 진단 검사로 성과평가를 진행하여 청년 마음건강 회복과 종합적인 사후관리를 할 수 있는 단계별 전략도 마련된 바 있습니다

     

    ㅇ 이 연구보고서는 한국저작권위원회 홈페이지(https://www.copyright.or.kr) 에서열람가능하며, 저작물출처표시를통해누구나자유롭게활용할수있습니다

     

     

    원본자료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지치고, 마음이 힘든 청년 서두르세요”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 사업, 2,500명 규모 올해 마지막 4차 모집.pdf
    0.81MB

     

     

     

    ☞ 함께 보면 좋은 정보